충남 홍성의 ‘단비내린딸기농장’은 김단비(38), 박준호(42) 부부가 900평 면적에서 베드에 줄을 매달아 공중에 올린 행잉베드 방식으로 딸기를 키우는 곳이다. 이곳은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딸기를 재배하고, 체험농장까지 운영하는 농업 공간이다. 특히 자동화로 인건비와 노동 강도를 줄여 초보 농부의 농업 적응이 빨라졌다. 체계적인 준비와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지자체의 지원에 힘입어 농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은 부부는 10년 후를 내다보면서 농업에서 계속 도전할 계획이다.
지자체 교육에 힘입어 귀농해 스마트팜에서 딸기 체험농업 운영
충남 홍성의 ‘단비내린딸기농장’은 스마트팜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딸기를 재배하고, 체험농장까지 운영하는 즐길 거리 가득한 농업 공간이다. 이곳을 운영하는 김단비, 박준호 부부는 원래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농업에 도전했다. 딸기는 고소득 품목이고, 체험 등으로 활용도가 높다고 생각해 선택했다.
“우연히 청년 농부의 스마트팜 사례를 보고 농업에 관심이 생겼어요. 특히 충남지역 지원사업이나 교육 등이 좋더라고요. 경험을 쌓으려 논산에서 6개월 귀농 교육을 받았고, 60곳 이상의 농가도 견학했죠. 2024년엔 충남농업기술원에서 ‘청년 스마트팜 교육’도 받았어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딸기재배를 시작한 농장은 약 900평 규모로 스마트팜 기술이 접목된 700평 재배면적을 갖추고 있다. 주요 설비로는 ▲복합 환경 제어 시스템 ▲수냉식 전기 냉난방기 ▲미스트 ▲산광 스크린 등이 있다. 모든 시설은 자동화되어 습도·양분 공급, 온도 및 빛 조절 등 대부분을 스마트폰 하나로 조절할 수 있다.
“환경 제어 시스템 덕분에 효율적이면서 편하게 최적의 생육환경을 유지해요. 고품질 유지에 최적인 환경을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딸기의 광합성이 가장 효율적인 온도인 24~25℃를 맞추려 창문을 자동으로 여닫게 하죠. 여름철엔 산광 스크린과 미스트도 활용해 하우스 내부 온도를 28℃ 이하로 유지하고요. 특히 미스트는 온·습도 조절에 엄청난 도움이 됐어요.”
각종 지원사업은 농장 운영에서 큰 힘이 되고 있다. 특히 농장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충청남도(지사 김태흠)의 ‘청년 자립형 스마트팜 지원사업’에 뽑혀 3년간 외부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으면서 성장하고 있다. 충남도는 스마트팜 조성을 통한 청년농 양성 정책을 통해 미래농업의 자양분으로 성장할 ‘단비내린딸기농장’과 같은 청년농 3,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단비내린딸기농장’은 스마트팜 기술 덕분에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고 있다. 초보 농부도 농업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게 스마트팜 덕을 톡톡히 보는 셈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농사 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