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는 독보적인 온실 수직형 기술 기반 스마트팜으로 청년농업인 양성에 노력하고 있다. ‘충남형 스마트팜 사관학교’는 ICT융·복합시설 기반 스마트팜으로, 특히 ‘박막수경+분무수경+배지+온실수직형’을 혼합해 국내 최초로 온실 수직형(Y자형) 재배기를 도입했다. 시스템은 24시간 연중 생산시스템을 활용해 일반 스마트팜(수경재배) 온실보다 설치가격, 경제성, 생산성, 재배 규모 등에서 월등히 낫다는 평가를 받는다.
재배기 쌓아서 높낮이 조절하는 ‘아산형 스마트팜’
충남 아산시 염치읍의 아산시농업기술센터 내부엔 2024년 9월부터 ‘충남형 스마트팜 사관학교’가 자리 잡았다. 시는 4년간 연구 끝에 관내 청년 농업인과 협력해 ‘박막수경+분무수경+배지+온실수직형’을 혼합해 국내 최초로 온실 수직형(Y자형) 재배기를 도입하고 특허 출원했다. 이른바 ‘아산형 스마트팜’이다. ‘아산형 스마트팜’은 친환경 목재 재질의 수직형(Y자형) 재배기를 블록 쌓듯이 조립하는 형태라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재배기 양옆의 둥근 구멍에서 작물을 키우는데, 맨 위 노즐에서 양액을 떨어뜨려 구멍들마다 적정량 양액이 고였다 맨 아래로 떨어져 순환하는 방식이다.
이미용 농업기술과장은 “기존 일반 공장형 스마트팜은 비싼 설치 가격과 함께 활용도와 현장 적용에서 실현 가능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평이 있다. 반면에 ‘아산형 스마트팜’은 설치가격, 경제성, 생산성, 재배규모 등 모든 면을 농가 시설하우스 특성에 맞춰 맞춤형으로 보급할 수 있어 주목할 만하다.”라고 밝혔다.
‘충남형 스마트팜 사관학교’는 총사업비 약 6억 원이 투입되어 1,008㎡ 규모의 고정식 온실 형태로 설계되었다. ‘아산형 스마트팜’엔 ▲ICT융복합시설 기반 스마트팜 ▲자동제어 양액 수직형 수경재배 시스템 ▲지하수 활용 에너지 절감 수냉식 냉·난방기 ▲양액 순환식 재배 등 신기술이 투입됐다. 지하수를 활용한 냉·난방기로 에너지 절감을 높였고, 환풍기 등 자동설비로 효율도 높였으며, 전체 순환 시스템으로 양액을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방식이다. 순환식 수경재배 기술 기반으로 24시간 사계절 연중생산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는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한 청년농업인 조요한(34) 씨, 신선아(34) 씨가 이곳에서 땀 흘리고 있다. 본인들 농장을 꾸리기에 앞서 이곳을 자양분 삼아 미래형 농업 인재가 되려 준비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해 10월부터 입주해 스마트농업 운영과 기술 습득의 기회를 얻으면서 유럽종 상추 등을 키우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농사 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