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딸기 최대 주산지인 충남 논산시(시장 백성현)는 최근 스마트팜을 통한 미래형 농업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최근엔 1년 내내, 심지어 여름에도 딸기를 생산하는 농장을 육성·지원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김영철(64) 씨는 폐업한 양송이버섯 재배사를 재활용하여 냉방시설과 LED 조명 등을 설치해 딸기를 수직으로 다단재배하고 있다. 이른바 논산형 스마트팜인 ‘창고형 식물공장’에선 고품질 ‘여름 딸기’를 생산해 틈새시장 개척과 동시에 새로운 농업모델도 구축하고 있다.
창고형 식물공장, 여름 딸기 선도하다!
논산은 ‘딸기의 고장’답게 미래형 영농 구축에도 힘을 쏟는다. 김영철 씨 역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논산형 스마트팜인 ‘창고형 식물공장’에선 고품질 ‘여름 딸기’를 생산해 틈새시장 개척과 동시에 새로운 농업모델도 구축하고 있다.
“20년간 양송이버섯을 재배하다 폐업 후 새로운 품목을 고민했어요. 마침 논산시에서 관내 유휴시설을 생산 가능 인프라로 탈바꿈하는 시범사업이 있어서 선정됐죠. 냉방시설과 LED 조명 등을 설치하고, 내부를 개조해 창고형 식물공장으로 재탄생했어요.”
창고형 식물공장은 버섯재배사 2동, 약 37평으로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 빛, 온도, 습도 등 작물이 자라는 환경을 조성해 딸기를 안정하게 생산할 수 있다. 병충해를 차단하고, 딸기재배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지속해 조성하는 셈이다. 창고형 식물공장은 기존 하우스보다 적은 면적에서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노동력 절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곳은 다단재배로 4개의 재배단상을 수직으로 설치해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늘렸다. 높낮이가 큰 공간임에도 환기팬과 비닐통로 등을 이용해 온도와 습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하고 있다. 냉풍기가 돌아가는 실내 온도는 20도 정도로, 기존의 버섯재배사 냉방장치에 전기 냉방기를 추가했다.
딸기는 수경재배로 자라난다. 배지가 흙의 역할을 하고, LED 조명이 햇빛 역할을 하고, 영양분과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김 씨는 2년의 시행착오 끝에 여름 딸기 생산에 성공했는데, 크기와 당도가 만족스럽게 나오고 있어 흐뭇한 모습이다.
“시설하우스 재배 딸기는 보통 11월부터 5월까지 수확해요. 창고형 식물공장은 빛을 완전히 차단한 상태인 데다 냉방시설을 추가해 여름에도 딸기를 생산해요. 올해 12월까지 계속하면 약 18개월간 이어지니까 수확 기간이 약 3배로 늘어나죠.”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농사 책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